본문 바로가기
육아

신생아들이 잠을 잘 자지 못하는 이유 10가지

by mama-day 2025. 1. 29.

신생아들이 잠을 잘 자지 못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주로 신생아의 생리적, 심리적 특성과 환경적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신생아는 태어나면서부터 외부 환경에 적응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잠을 잘 자지 못하는 여러 원인이 존재합니다. 

1. 생리적 리듬 미성숙
신생아는 태어나서 처음 몇 개월 동안은 신체의 여러 생리적 리듬이 미성숙한 상태입니다. 특히, 수면 주기와 관련된 생체 리듬인 서카디언 리듬(circadian rhythm)은 신생아가 태어나면서 완전히 형성되지 않습니다. 서카디언 리듬은 밤과 낮의 주기에 맞춰 수면과 각성을 조절하는 생리적 과정으로, 이는 대개 생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완성됩니다. 그 시점이 지나야 신생아가 밤과 낮을 구별하고, 일정한 수면 패턴을 갖추게 됩니다.

2. 수면 패턴의 차이
신생아는 성인과는 다른 수면 패턴을 가집니다. 성인은 보통 7~9시간의 연속적인 잠을 자지만, 신생아는 하루에 16~20시간의 잠을 자지만, 이 수면은 짧고 불규칙한 주기로 이루어집니다. 신생아의 수면 주기는 보통 50~60분 정도로 짧고, 이때마다 잠에서 깨거나 깊은 잠과 얕은 잠을 번갈아 가며 자게 됩니다. 이는 신생아의 뇌와 몸이 아직 성장하고 발달하는 중이기 때문입니다.

3. 배고픔과 불편함
신생아는 배가 고프면 쉽게 깨어납니다. 신생아의 위는 매우 작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양을 먹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자주 배가 고프고, 그로 인해 밤에도 여러 번 수유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신생아는 잠을 깊이 자지 못하고 자주 깨어나게 됩니다. 또한, 기저귀가 젖거나 불편한 자세 등으로도 신생아는 잠을 잘 이루지 못할 수 있습니다.

4. 호르몬과 생리적 변화
신생아는 생리적으로 호르몬과 관련된 변화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생후 첫 몇 주 동안은 멜라토닌(수면 호르몬)의 분비가 성인보다 낮고 불규칙합니다. 멜라토닌은 밤에 분비되어 숙면을 돕는 역할을 하는데, 신생아는 아직 멜라토닌 분비가 미성숙하여 밤에 수면을 깊이 취하기 어려운 상태입니다. 또한, 생후 몇 개월 동안은 렌티큘라리 폴리펩타이드와 같은 호르몬들이 활성화되며, 이는 신생아의 수면 패턴에 영향을 미칩니다.

5. 환경에 대한 민감성
신생아는 외부 환경에 매우 민감합니다. 특히, 소리, 빛, 온도 등의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합니다. 신생아는 성인보다 귀가 민감하고, 시각과 청각이 빠르게 발달하지만 환경에 완전히 적응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이는 신생아가 잠을 자는 동안에도 소리가 나거나 불편한 환경이 있을 경우 쉽게 깨어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6. 불안과 스트레스
신생아는 아직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이해하거나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생리적, 심리적 불안감이 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엄마와의 분리 불안, 새로운 환경에 대한 불안, 혹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불편함 등이 신생아를 잠에서 깨게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신생아는 자주 기저귀를 갈거나, 수유하거나, 몸을 자주 움직여줘야 하므로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빈번해집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신생아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지만, 때로는 과도한 자극이나 스트레스가 신생아의 잠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7. 위장 불편
신생아의 위장 시스템은 아직 미숙합니다. 신생아는 소화가 잘되지 않거나 가스가 차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신생아가 자주 깨어나거나, 잠에서 자주 뒤척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산통(콜릭)이라 불리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대개 생후 2주에서 3개월까지 지속되며, 신생아가 자주 울고 잠을 잘 이루지 못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8. 신체 발달과 뇌 발달
신생아는 뇌가 급격히 발달하는 시기입니다. 뇌의 발달 과정에서 신생아는 외부 자극을 많이 받고, 이에 따라 자주 깨어나거나 잠이 자주 깨는 경향을 보입니다. 또한, 신생아의 근육이나 신경 시스템이 아직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잠을 깊이 자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 시기에 뇌는 새로운 정보를 처리하고, 성장에 필요한 많은 자극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잠의 질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9. 수면 의식 부족
신생아는 수면에 대한 규칙적인 의식을 아직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일정한 시간에 잠들거나 깨어나는 패턴을 형성하기 어렵습니다. 성인들은 수면에 대한 습관을 지니고 있지만, 신생아는 그러한 의식이나 루틴이 없으므로 자연스럽게 수면이 불규칙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형태로 나타납니다.

10. 가족 및 환경 요인
가족 구성원들의 생활 패턴이나 신생아가 자는 환경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부모의 수면 습관이나, 집안의 소음, 불편한 수면 환경 등이 신생아의 수면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부모가 신생아를 돌보는 방식이나 스트레스 수준도 신생아의 수면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